이 10% 넘게 감소했습니다
작성자test
- 등록일 25-04-20
- 조회10회
- 이름test
본문
[앵커] 지난 1분기에 한국철강제품의수출이 10% 넘게 감소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장 먼저 관세 부과에 나섰던철강분야에서 그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협상을 통해 받았던 연간 263만t 규모의철강면세 쿼터가 없어진 바 있습니다.
지난 3월 한국의 대미철강수출이 감소한 데에는 그달부터 시작된 미국의철강관세 조치의 영향도 일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업계에서는 그간철강관세 조치로.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받았던 연간 263만톤 규모의철강면세 쿼터가 없어졌다.
3월 한국의 대미철강수출이 감소한 데에는 그달부터 시작된 미국의철강관세 조치의 영향도 일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업계에서는 그간철강관세 조치로 미국.
글로벌철강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비용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도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하지만 ‘철강25% 관세’ 정책이 현실화함에 따라 이 같은 예외 조치는 모두 폐지됐다.
이 때문에 지난달 한국의 대미철강수출감소에는 미국발 관세 정책 영향이 일부 반영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내철강업계는 장기적으로 관세 부과를 피할 수 있는.
미국이 지난달 12일부터 수입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지난달 우리나라 대미철강수출액이 2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업체 주문부터 인도까지 3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에 6월부터는수출에 본격적으로 관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앵커] 지난달 미국 트럼프 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장 먼저 관세를 부과한 품목,철강이었습니다.
우리 주력 산업인 데다 안 그래도 경기가 안 좋은 상황이라 우려가 컸는데, 벌써 대미수출이 10% 이상 줄었습니다.
문제는 두 세 달 뒤엔 제대로 된 관세.
점유율을 지켜왔던 우리나라철강사의 입지가 약화하고, 미국철강사의 비중이 다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한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부과로수출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며 "미국 내철강수요도 자동차 산업 부진 등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수입국에 일괄 관세를 부과하기로 정책을 바꿨다.
업계에서는 지난달 우리나라의 대미철강수출감소 원인 중 하나로 미국의철강관세조치 영향도 있다고 분석한다.
철강관세조치로 미국 시장에서 약 4분의 3을 차지하던 미국철강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더.
철강(품목 HS 코드 72) 전체 수출액은 8억2827만달러(1조1776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이는 인천지역철강수출국가 3위인 미국의 수출액이 1년 전보다 무려 42.
4% 떨어진 8930만달러(1270억원)를 기록한 데 따른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