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트 국민의힘, ‘조희대·한덕수 회동설’ 주장한 서영교·부승찬 고발
작성자행복인
- 등록일 25-09-23
- 조회3회
- 이름행복인
본문
국민의힘은 이날 조 대법원장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두 의원에 대한 고발장을 제출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서울경찰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두 의원뿐 아니라 민주당 의원 10여명이 자신의 페이스북·SNS에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다며 면책특권 뒤에 숨지 말고 진실을 밝혀라고 말했다.
최은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도 논평에서 제보자 보호라는 구실로 증거 공개를 거부하는 모습은 ‘그렇게 자신 있다면 까라, 왜 못까냐’는 국민적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며 민주당은 지금 확인되지 않은 제보를 앞세우며 본질을 바꿔치기하는 괴담 정치의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고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면책특권을 방패 삼아 출처 불명, 사실무근의 녹취 공작을 국회 법사위 회의에서 버젓이 유포해 국회를 농단하고 사법독립을 침탈하고 국민을 기만하는 가짜뉴스 공장 서 의원은 법사위원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이 녹취조작 거짓선동이 거짓이 아니라면 제보자를 정확히 밝히고 조희대 대법원장을 고소·고발해 보라며 국회 회의장 밖에서 면책특권을 벗고 기자회견을 해보라고 했다.
서 의원은 지난 5월 1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유튜브 채널 ‘열린공감TV’가 공개한 녹취록을 틀고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정상명 전 검찰총장·한덕수 전 총리·김충식씨·조희대 대법원장 4인이 만났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부 의원도 지난 16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해당 의혹을 언급하며 조 대법원장이 한 전 총리와 만나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위반 재판을 ‘알아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은 이 녹취록이 인공지능(AI) 음성이라며 민주당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화과가 서울·경기권 마트와 백화점 진열대에 일반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지 5년 남짓 되었을까. 그동안 무화과는 후숙이 되지 않는 특성 탓에 남쪽 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현지 과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황은 달라졌다. 무화과는 케이크, 빙수, 토스트 등 각종 디저트에 빠지지 않는 인기 재료로 자리 잡았다. ‘인스타그래머블’한 카페라면 어김없이 메뉴판에 무화과를 올리고 있다. 대전의 명물 빵집 성심당도 지난 8월 말부터 무화과를 듬뿍 얹은 ‘무화과 시루’를 선보였다. 잘게 박힌 씨앗과 희고 붉은 속살이 어우러진 빛깔은 시각만으로도 입맛을 자극하기 때문.
단, 무슨 일인지 무화과 맛에 대한 평은 극단적이다. 신기해서 샀더니 밍밍하니 네 맛도 내 맛도 없다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맛은 둘째치고 물컹한 식감이 싫다는 이도 있다. 한편에서는 무화과를 한입 무는 순간 작은 씨앗들이 알알이 씹히며 쫀득말랑한 식감과 더불어 향긋한 장미향과 쌉싸래한 홍차향이 섞여 혀 전체를 코팅하듯 아우른다며 극찬을 늘어놓기도 한다. 무화과는 도대체 어떤 과일이기에 이처럼 그 평가가 천차만별일까?
국내 무화과는 크게 겉껍질 색이 푸른 청무화과와 자주색인 홍무화과로 나뉜다. 홍무화과가 수분이 많고 좀 더 폭신폭신한 식감이라면 청무화과는 달고 진득한 잼 같은 식감과 맛을 자랑한다. 후숙되지 않고 보관 기간이 짧아 유통이 까다로운 과일이라 산지에 가서 직접 사 먹는 것이 ‘인생 무화과’를 만날 확률이 높다.
어릴 때 동네마다 무화과나무가 심겨 있었다. 초가을 즈음 무화과 단내가 온 동네를 덮을 정도였다. 그때는 여기저기 흔해서 그 맛이 귀한 줄 몰랐다. 서울에서는 절대 맛볼 수 없는 맛인데…
전남 고흥군 출신 회사원 김현영씨(33)의 추억처럼 무화과는 나무에서 최대한 익혀 즉석에서 따먹는 것이 최상의 맛일 것이다. 여건상 힘들다면 현지 하나로마트나 전통 시장에서 사면 실패율이 현저히 낮아진다. ‘새벽에 따 바로 보내준다’는 온라인 산지 직송도 이용해볼 만하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껍질이 얇고 상처가 없는 것. 얇지만 전체적으로 형태가 무르지 않고 탄력이 조금 있는 것이 신선하다. 익을수록 향이 진해지므로, 무화과 특유의 향이 나는지 맡아보는 것도 좋은 선택 기준이 된다. 덜 익은 무화과일수록 반으로 갈랐을 때 건조하고 빈 부분이 많고, 잘 익은 무화과는 갈랐을 때 카마그라구입 꿀 같은 과즙이 꽉 차 영롱하게 반짝거린다.
무화과는 꼭지가 위로 가게 잡은 다음에 흐르는 물에 겉만 살짝 씻어야 한다. 뒤집어서 꼼꼼히 씻으면 과육 안으로 물이 들어가 밍밍해진다. 그런 다음 꼭지를 살짝 자른 후 그대로 먹어도 되고 껍질이 싫은 무화과 초심자라면 흰 속살 전까지만 바나나 껍질을 까듯 벗겨 먹거나 반으로 갈라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단, 무화과는 미리 씻어놓으면 물러져 먹기 직전에 씻어야 한다.
무화과는 특히 유제품과 맛 궁합이 맞는다. 단순하게 요거트에 넣어 먹어도 별미고, 약간의 정성을 들여 노릇하게 구운 식빵에 크림치즈나 리코타 치즈를 바르고 무화과를 잘라 얹은 후 시나몬 가루를 뿌리면 카페 디저트 못지않은 모양새가 완성된다. 생으로 보관은 힘들지만 얼리면 별미가 되기도 한다. 반으로 갈라 냉동한 다음 살짝 녹여서 셔벗처럼 퍼먹을 수 있다. 서양처럼 말린 무화과를 만들고 싶다면 에어프라이어에 조각낸 무화과의 껍질이 밑으로 가게 한 후 뒤집지 않고 70도 정도로 서너 번 돌리면 완성된다.
덜 익은 무화과 껍질에 가끔 흰 점액이 맺히는데 단백질 분해 효소의 일종인 ‘피신(ficin)’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은 개인에 따라 알레르기를 일으켜 피부·점막에 자극을 주니 먹을 때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