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정신 계승해 내란 청산”…제34회 민족민주열사·희생자 범국민추모제
작성자행복인
- 등록일 25-06-18
- 조회1회
- 이름행복인
본문
추모제에 앞서 참가자들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 종로구 송현녹지광장 앞에 모여 추모식 제단이 마련된 시청 동편까지 영정을 들고 ‘민주열사와 함께하는 시민대행진’을 진행했다.
유가족과 노동자, 대학생 등 800여 명의 참가자는 박종철·이한열 열사 등 680여 위의 영정을 들고 행진에 나섰다. 전태일 열사의 동생 전태삼씨(75)는 형의 영정을 들고 대열 맨 앞줄에 섰다. 예식장갑을 끼고 장미꽃과 영정을 든 참가자들이 시청 동편 행사장에 도착하자 이들이 들었던 영정들은 하나둘 제단 위로 올랐다.
1990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처음 열린 추모제는 올해로 34회를 맞았다. 이번 추모제에서는 지난 정부서 윤 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입법이 무산된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장남수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회장은 “열사들을 예우하기 위한 최소한의 법적 제도 마련을 위한 민주유공자법은 여전히 통과되지 않고 있다”며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민주유공자법을 새 정부에서는 꼭 통과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추모제 측이 설치한 제단 밑단에는 고 양회동씨의 영정도 함께 올랐다. 건설노조 강원지부 제3지대장이었던 양씨는 2023년 5월 경찰의 ‘건폭몰이’ 수사에 항의하며 분신했다. 지난 5월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양 씨의 ‘분신방조’ 의혹을 보도한 조선일보 전 기자와 이를 인용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에 대해 ‘혐의없음’ 결정을 내렸다. 강한수 양회동열사회 회장(건설노조 사무처장)은 이날 무대에 올라 “경찰은 CCTV 유출범을 찾지도 않았고, 사실관계를 왜곡한 조선일보 등에 면죄부를 줬다”고 말했다.